반응형
영화 '일렉트릭 스테이트 (2025)' 위키 가이드 : 파헤쳐 보는 모든 것
앤서니 및 조 루소 형제의 SF 어드벤처 대작, 넷플릭스 영화 '일렉트릭 스테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한 곳에 모았습니다. 위키 스타일로 정리된 이 가이드를 통해 영화의 개봉 정보부터 흥미로운 제작 뒷이야기, 결말 해석까지 꼼꼼하게 살펴보세요!
1. 영화 기본 정보
- 1.1. 개봉일:
- 2025년 2월 24일, 로스앤젤레스 그라우먼 이집션 극장 월드 프리미어
- 2025년 3월 14일, 넷플릭스 미국 등 전세계 공개
- 1.2. 감독: 앤서니 & 조 루소 (Anthony & Joe Russo)
- 1.3. 배급사: 넷플릭스 (Netflix)
- 원래 유니버설 픽처스가 배급권을 보유했으나, 넷플릭스가 2022년에 인수
- 1.4. 제목 (한글/영어):
- 영어 제목 : The Electric State
- 한글 제목 : 일렉트릭 스테이트
2. 출연 배우
- 2.1. 주연
- 밀리 바비 브라운 (Millie Bobby Brown) : 미셸 그린 (Michelle Greene) 역
- 넷플릭스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로 유명한 [밀리 바비 브라운]
- 크리스 프랫 (Chris Pratt) : 존 D. 키츠 병장 (Staff Sgt. John D. Keats) 역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쥬라기 공원'으로 유명한 [크리스 프랫]
- 밀리 바비 브라운 (Millie Bobby Brown) : 미셸 그린 (Michelle Greene) 역
- 2.2. 조연
- 키 호이 콴 (Ke Huy Quan): 클라크 앰허스트 박사 / P.C. (Dr. Clark Amherst / the voice of P.C.) 역
- 스탠리 투치 (Stanley Tucci): 이선 스케이트 (Ethan Skate) 역
- 우디 노먼 (Woody Norman): 크리스토퍼 "크리스" 그린 (Christopher "Chris" Greene) 역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Giancarlo Esposito): 마셜 브래드버리 대령 (Col. Marshall Bradbury) 역
- 제이슨 알렉산더 (Jason Alexander): 테드 피니스터 (Ted Finister) 역
- 마린 힌클 (Marin Hinkle): 사블린스키 씨 (Ms. Sablinsky) 역
- 마이클 트루코 (Michael Trucco): 벤 애보트 (Ben Abbott) 역
- 마틴 클레바 (Martin Klebba): 허먼 (Herman) 역
- 2.3. 목소리 출연
- 우디 해럴슨 (Woody Harrelson): 미스터 피넛 (Mr. Peanut) 역
- 앤서니 매키 (Anthony Mackie): 허먼 (Herman) 역
- 브라이언 콕스 (Brian Cox): 팝플라이 (Popfly) 역
- 제니 슬레이트 (Jenny Slate): 페니 팔 (Penny Pal) 역
- 앨런 튜딕 (Alan Tudyk): 코즈모 (Cosmo) 역
- 행크 아자리아 (Hank Azaria): 퍼플렉소 (Perplexo) 역
- 콜먼 도밍고 (Colman Domingo): 울프 (Wolfe) 역
- 롭 그론카우스키 (Rob Gronkowski): 블리츠 (Blitz) 역
- 빌리 가델 (Billy Gardell): 가비지 봇 (Garbage Bot) 역
- 수잔 레슬리 (Susan Leslie): 미세스 시저스 (Mrs. Scissors) 역
- 조던 블랙 (Jordan Black): 클렘 (Clem) 역
3. 수상 및 후보
- (2025년 3월 14일 기준) 수상 및 후보 선정 내역은 아직 없습니다. 향후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4. 흥행 정보 및 평가
- 4.1. 제작비 및 흥행 전략:
- 제작비: 3억 2천만 달러 (넷플릭스 영화 중 최고 수준)
- 주요 배급 플랫폼: 넷플릭스 (제한적인 극장 상영 병행)
- 전통적인 박스 오피스 수익보다는 넷플릭스 구독자 유치 및 서비스 이용 시간 증대에 집중
- 4.2. 넷플릭스 시청 정보 및 평가 종합:
- 비평가 반응: 엇갈림 (Rotten Tomatoes 비평가 점수 19%)
- 관객 반응: 긍정적 (Rotten Tomatoes 관객 점수 75%, IMDb 사용자 평점 6.0/10)
- 종합 의견: 비평가들은 영화의 스토리텔링, 각색, 그리고 전반적인 완성도에 대해 낮은 점수를 주었지만, 일반 관객들은 볼거리, 배우들의 연기, 그리고 오락적인 요소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5. 시청 가능 플랫폼
- 넷플릭스 (Netflix) 독점 스트리밍
6. 줄거리
- 배경: 인간과 로봇 간의 전쟁으로 황폐해진 1990년대의 미국
- 주인공: 10대 고아 소녀 미셸
- 미션: 실종된 남동생 크리스토퍼를 찾아 나서는 여정
- 조력자: 크리스토퍼가 조종하는 듯한 로봇 코즈모, 과거를 가진 베테랑 떠돌이 키츠
- 주요 갈등: 센트레라는 기업과 그 CEO 이선 스케이트의 음모, 뉴로캐스터라는 가상 현실 시스템을 통한 인간 착취
7. 결말 (스포일러 주의)
⚠️ 스포일러 주의 ⚠️
- 미셸은 뉴로캐스터에서 크리스토퍼와 재회하지만, 그의 분리가 센트레의 몰락을 가져올 것을 알게 된다.
- 크리스토퍼는 자신이 죽어야 이 세상에 전쟁을 종식 시킬 것이라고 하며, 자신의 생명 유지 장치를 꺼달라고 한다.
- 험(로봇)은 죽은 줄 알았으나, 25cm짜리 작은 수리 버전으로 속 안에서 미니 버전으로 나타난다.
- 미셸은 크리스토퍼를 시스템에서 분리시키고, 이는 그의 육체적인 죽음과 센트레의 붕괴를 초래한다.
- 마지막 장면 : 고철 처리장에 버려진 코즈모 로봇이 움직이는 모습은 크리스토퍼의 의식이 로봇에 남아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8. 결말 해석 논란
- 긍정적 해석: 코즈모의 움직임은 크리스토퍼의 의식이 로봇에 남아있어 희망적인 결말을 암시한다.
- 비판적 해석: 영화의 완성도와 원작과의 괴리에 대한 비판, 결말 역시 모호하게 마무리되어 아쉬움을 남긴다.
- 주요 주제: 기술 의존에 대한 경고와 인간적인 연결의 중요성, 로봇 봉기와 격리 정책을 통한 사회적 편견과 인간성의 정의에 대한 질문 제기
9. 쿠키 영상 정보
- 전통적인 형태의 쿠키 영상은 없음
- 마지막 장면에서 코즈모가 움직이는 모습은 일종의 여운을 주는 역할을 함
10. 평점
출처 (Source) | 측정 항목 (Metric) | 점수/평점 (Score/Rating) |
로튼 토마토 (Rotten Tomatoes) | 비평가 점수 (Critic Score) | 19% |
로튼 토마토 (Rotten Tomatoes) | 관객 점수 (Audience Score) | 75% |
IMDb | 사용자 평점 (User Rating) | 6.0/10 |
이 위키 가이드가 '일렉트릭 스테이트'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영화를 감상하신 후, 여러분의 생각과 해석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반응형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 베러맨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2) | 2025.03.28 |
---|---|
영화 : 콘클라베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0) | 2025.03.25 |
영화 : 아이언맨[Iron Man] (2008)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1) | 2025.03.19 |
영화 : 서브스턴스 (2024)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0) | 2025.03.17 |
영화 : 점퍼 (Jumper, 2008)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