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필름로그입니다.
위키스타일로 전체 내용을 작성했어요. 양이 방대한데 이렇게 작성되면 훨씬 빨리 읽을 수 있기 때문이예요.

I. 영화 기본 정보
- A. 제목 :
- 한글 제목 : 대도시의 사랑법
- 영어 제목 : Love in the Big City
- B. 장르 :
- 퀴어 로맨스 코미디, 드라마
- 이러한 복합 장르 구성 영화가 단순 범죄 사건 해결 넘어, 등장인물들 복잡 관계/사회 어두운 단면 다층적 그려내고자 했음 시사함. (이 설명은 '야당' 분석과 유사하며, '대도시의 사랑법'에 맞게 수정 필요. '대도시의 사랑법'은 인물들의 관계와 성장에 더 초점을 맞춤)
- C. 개봉일 :
- 한국 : 2024년 10월 1일
- 해외 개봉일 :
- 토론토 국제 영화제 : 2024년 9월 13일 (월드 프리미어). 제49회 토론토 국제영화제 스페셜 프레젠테이션 섹션 공식 초청, 전 세계 최초 공개됨. 이러한 국제 영화제 초청 작품 예술성/잠재적 국제 관심 시사하는 중요 지표임.
- 기타 국가 :
- 캐나다 : 2024년 9월 5일 (토론토 국제 영화제 선행 상영 가능성)
- 이탈리아 : 2024년 9월 5일 (인터넷 공개), 우디네 극동영화제 이탈리아 프리미어. 이탈리아 인터넷 공개/영화제 상영 유럽 시장 확장 의미할 수 있음.
- 싱가포르 : 2024년 10월 3일
- 인도네시아 : 2024년 10월 9일
- 브라질 : 2025년 4월 3일
- 일본 : 2025년 6월 13일
- 미국 개봉일 명확 정보 제공 자료서 확인되지 않았으나, 2025년 4월 3일 뉴욕 한국 문화원 상영회 예정되어 있었음. 이는 정식 극장 개봉과 다를 수 있으나 미국 내 관심 반영함.
- D. 감독 :
- 이언희
- E. 각본/각색 :
- 각본 : 김나들. 이언희 감독/임나무 또한 각색 참여함.
- F. 주요 제작사 :
- ㈜쇼박스, ㈜고래와유기농
- G. 배급사 :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H. 상영 시간 :
- 118분
- I. 관람 등급 :
- (정보 제공된 자료 내 명확한 관람 등급 정보 없음. 일반적으로 로맨스 드라마 장르 고려 시 15세 이상 관람가 또는 전체 관람가 예상 가능)
- J. 원작 유무 :
- 원작 종류 : 소설 (연작소설집)
- 원작자 : 박상영
- 원작 제목 : 《대도시의 사랑법》
- 영화화된 부분 : 박상영 작가 동명 연작소설 수록 단편 중 〈재희〉 주요 원작으로 함. 다만, 영화 주인공 어머니와 관계 등 다른 단편 내용 일부 통합하여 각색한 것으로 보임. 원작 소설 2022년 인터내셔널 부커상 후보 오르는 등 문학적 성과 인정받은 작품, 영화화 대한 기대감 높이는 요소 작용함.

II. 출연진
- A. 주연 배우 :
- 김고은 (재희 역)
- 노상현 (흥수 역)
- B. 조연 및 특별출연 :
- 장혜진 (흥수 모 역)
- 오동민
- 정휘 (수호 역)
- 김채은 (아영 역)
- 권영은
- 서벽준
- 박지안
- 방정민 (해구 역)
- 특별출연 : 이상이 (민준 역), 곽동연 (준수 역), 주종혁 (타투 역), 이유진 (채선우 역), 최유화 (여진 역). 다수 인지도 있는 배우들 특별출연 영화 풍성함 더함.

III. 줄거리
- 간략 줄거리 :
- 시선 사로잡는 과감 스타일/거침없는 태도 주목받는 자유로운 영혼 '재희'(김고은 분). 그녀 특별히 관심 없던 동기 '흥수'(노상현 분) 비밀 우연히 알게 됨.
- 흥수 자신 성 정체성 숨기며 살아가는 인물임. 이 사건 계기로 두 사람 서로 완벽 이상형 아니지만, 오직 둘만 이해할 수 있는 특별 교감 나눌 수 있음 깨달음.
- 주변 소문/시선 아랑곳 않고, 재희/흥수 각자 방식대로 사랑하고 살아가기로 의기투합하며 아슬아슬한 동거 생활 시작함.
- 영화 20대 대학생 시절 재희/흥수 만남으로 시작하여, 이들 겪는 우정/사랑, 성장 과정 그림.
IV. 결말 (⚠️스포일러 주의⚠️)
- 주의 : 아래 내용 영화 주요 결말 포함하고 있음.
- 주요 내용 :
- 영화 결말 시간 흘러 각자 길 찾아가는 재희/흥수 모습 보여줌.
- 흥수 여러 어려움/갈등 속 자신 성 정체성 받아들이고 타인에게도 이를 드러내며 한 단계 성장함.
- 재희와 관계서 오해/갈등 겪기도 하지만, 결국 두 사람 깊은 유대감 유지됨.
- 흥수 어머니에게 커밍아웃, 어머니 충격 속에서도 아들 이해하려는 모습 보임.
- 한편, 재희 사회생활/연애 과정 여러 일 겪으며 자신 잃어가는 듯한 느낌 받기도 하지만, 흥수 일침/여러 사건 통해 각성, 이전 당당 모습 되찾음.
- 전 남자친구와 문제로 위험 상황 처하기도 하지만, 흥수 도움/경찰서 사건 통해 관계 정리함.
- 결국 재희 자신 다름 이해하고 사랑해 주는 남자와 결혼하여 신혼여행 떠나고, 흥수 취업 대신 자신 진정 원하는 글쓰기 선택하며 작가로서 삶 살아감.
- 영화 결혼하는 재희 마지막까지 흥수 연애 걱정하며 소개팅 주선하겠다는 대화 나누는 장면으로, 두 사람 변치 않는 우정 보여주며 마무리됨.
- 이러한 결말 각자 방식 성장/행복 찾아가는 두 주인공 모습 통해 따뜻한 여운 남김.

V. 흥행 정보
- 국내 박스오피스 성적 :
- 누적 관객수 : 공식통계 기준 약 879,109명 (2024년 연간 박스오피스 기준). 씨네21 자료 874,702명 집계됨. 한국방송공사 보도 누적 관객 수 50만 명 기록했다고 언급된 시점도 있었음.
- 누적 매출액 : 공식통계 기준 약 83억 396만 5,930원. 발권통계 기준 약 67억 1,333만 4,362원 집계된 자료도 존재함. 국제 박스오피스(주로 한국) 5,870,441달러 기록.
- 박스오피스 순위 : 개봉 초기 '조커 : 폴리 아 되' 제치고 박스오피스 1위 차지 등 입소문 타며 흥행세 보임. 개봉 첫 주 주말 '베테랑2' 이어 2위 기록하기도 함.
- 손익분기점 : 약 130만 명.
- 제작비 : 약 60억 원.
- 국내 박스오피스 초기 1위 기록 등 긍정 출발 보였으나, 최종 누적 관객 수 손익분기점 130만 명 미치지 못함.
- 이는 영화 비평적 주목받고 특정 관객층 어필했지만, 극장 상영만으로 폭넓은 상업적 성공 거두는 데 한계 있었음 시사함. 약 60억 원 제작비 고려 시, 국내 극장 매출만으로 수익분기점 달성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결과 작품 주제/경쟁작 상황 등 다양한 요인 복합 작용한 결과일 수 있음.
VI. 수상 및 후보 내역
- 주요 수상 내역 :
- 제45회 청룡영화상 (2024) :
- 신인남우상 : 노상현
- 음악상 : 프라이머리
- 제2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2024) :
- 연기상 : 김고은
- 감독상 : 이언희
- 제1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2024) :
- 신인남우상 : 노상현
- 2024 씨네21 영화상 :
- 올해의 여자배우 : 김고은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노상현
- 제45회 청룡영화상 (2024) :
- 주요 후보 내역 :
- 제61회 백상예술대상 (2025) :
- 영화 작품상
- 영화 감독상 : 이언희 (1차 투표 1표 획득)
- 영화 여자최우수연기상 : 김고은
-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 노상현 (1차 투표 2표 획득)
- 구찌 임팩트 어워드
- 제61회 백상예술대상 심사 결과 따르면, 영화 작품상 부문 '대도시의 사랑법' 최종 경합 오르지 못했으며, 감독상 부문 이언희 감독/남자신인연기상 부문 노상현 배우 초기 투표 득표했으나 최종 수상 이르지 못함.
- 제61회 백상예술대상 (2025) :
- Table : 주요 수상 및 후보
시상식 (Awards Ceremony) 부문 (Category) 수상/후보자 (Recipient/Nominee) 결과 (Result) 제45회 청룡영화상 (45th Blue Dragon Film Awards) 신인남우상 (Best New Actor) 노상현 (Noh Sang-hyun) 수상 (Won) 제45회 청룡영화상 (45th Blue Dragon Film Awards) 음악상 (Best Music) 프라이머리 (Primary) 수상 (Won) 제2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25th Women in Film Korea Awards) 연기상 (Acting Award) 김고은 (Kim Go-eun) 수상 (Won) 제2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25th Women in Film Korea Awards) 감독상 (Best Director) 이언희 (Lee Eon-hee) 수상 (Won) 제1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11th KFPA Awards) 신인남우상 (Best New Actor) 노상현 (Noh Sang-hyun) 수상 (Won) 2024 씨네21 영화상 (2024 Cine21 Awards) 올해의 여자배우 (Actress of the Year) 김고은 (Kim Go-eun) 수상 (Won) 2024 씨네21 영화상 (2024 Cine21 Awards)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Rookie Actor) 노상현 (Noh Sang-hyun) 수상 (Won) 제61회 백상예술대상 (61st Baeksang Arts Awards) 영화 작품상 (Best Film) 대도시의 사랑법 후보 (Nominee) 제61회 백상예술대상 (61st Baeksang Arts Awards) 영화 감독상 (Best Director) 이언희 (Lee Eon-hee) 후보 (Nominee) 제61회 백상예술대상 (61st Baeksang Arts Awards) 영화 여자최우수연기상 (Best Actress) 김고은 (Kim Go-eun) 후보 (Nominee) 제61회 백상예술대상 (61st Baeksang Arts Awards)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Best New Actor) 노상현 (Noh Sang-hyun) 후보 (Nominee)
- 영화 국내 주요 시상식서 주연 배우들(김고은, 노상현)/감독(이언희), 음악(프라이머리) 부문 상당 호평 받음.
- 이러한 수상 패턴 영화 연기, 연출, 예술적 완성도 측면 강점 지니고 있음 뒷받침하며, 토론토 국제 영화제 선정과도 일맥상통함.
- 특히 노상현 배우 다수 신인남우상 수상 그의 뛰어난 연기력과 함께 주목받는 신예 배우로서 등장 알리는 결과 해석될 수 있음.

VII. 스트리밍 서비스 정보
- 현재 시청 가능한 플랫폼 :
- 넷플릭스
- 웨이브
- 티빙 경우, 박상영 작가 동명 소설 원작 8부작 드라마 2024년 10월 21일 독점 공개된 것으로 확인되며, 영화 티빙 공개 여부 명확하지 않음. 제공 자료서 영화 넷플릭스/웨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중인 것으로 나타남.
- 영화 극장 개봉 이후 넷플릭스, 웨이브 같은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 통해 공개된 것 한국 영화 일반적 배급 전략 중 하나로 볼 수 있음.
- 특히 주제 의식 강하거나 특정 관객층 깊은 인상 남길 수 있는 작품들 온라인 플랫폼서 더 폭넓거나 지속적 관객 확보하는 경향 있음.
- 이는 극장서 손익분기점 넘지 못한 경우 추가 수익 창출, 극장 관람 놓쳤거나 주문형 비디오 선호 시청자들에게 접근성 높이는 효과 가짐.
VIII. 제작 비하인드
- 원작 각색 방향 :
- 이언희 감독 원작 소설, 특히 단편 '재희' 독자로서 원작 재미 최대한 살리면서 영화적 균형 찾고자 함. 그녀 두 주인공 사이 관계성 관찰하는 서사 매력 느껴 이를 영화 중심에 두었다고 밝힘. 영화 재희 시점 아닌, 흥수 내레이션 일부 활용했는데, 이는 흥수 또한 소설가 지망생이라는 원작 설정 반영한 결정이었음.
- 캐릭터 구축 :
- '재희' 캐릭터 구축 과정서 감독 그녀 과감함 어느 선까지 표현할지 많은 고민 함. 감독 '재희' 통해 조금만 달라도 비정상 낙인찍는 사회 시선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고 언급함. 흥수 어머니 '명숙' 캐릭터 대해서는, 게이 아들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머니/아들 사이 복잡 관계 현실적 그리되, 어머니 아들 이해하려 노력하는 모습 담아내고자 함.
- 감독 연출 의도 :
- 이언희 감독 자신 작품 세계 전반 걸쳐 편견/차별, 그러한 상황 속 인물들 서로 보호하며 성장하는 이야기 관심 가져왔으며, '대도시의 사랑법' 역시 이러한 주제 의식 연장선 있다고 밝힘. 또한, 청춘 빛나는 순간뿐 아니라 군 생활/취업 준비 같이 삶에서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시기들까지 중요하게 다루며 현실감 부여하고자 함.
- 촬영 현장 분위기 :
- 김고은, 노상현 두 주연 배우 자연스러운 호흡/케미스트리 돋보이는 제작기 영상 공개된 바 있음. "미친X과 게이가 만났다" 같은 홍보 문구 두 배우 강렬 시너지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보임.
- 원작 단편 '재희' 각색하고 관계 관찰적 측면 집중 감독 의도 영화 섬세하고 인물 중심적 성격 형성 중요 역할 함.
- "편견과 차별, 그리고 서로 보호하는 인물들"이라는 감독 개인적 주제적 관심사 단순 로맨스/코미디 넘어 영화 더 깊은 메시지 이해하는 하나 틀 제공함. 삶 "지루한" 단면까지 담아내려는 노력 서사 내 현실성 높이는 데 기여함.
- '재희' 캐릭터 "적절한 과감함 수위" 대한 감독 고민 영화 사회적 규범/관습 도전 여성 캐릭터 어떻게 그려낼 것인가 대한 깊은 성찰 반영함. 감독 스스로 '재희' "잘못 판단할 뻔했다" 언급한 점 단순 스테레오타입 피하면서도 쉽게 규정되지 않는 인물 제시하려는 섬세 접근법 시사함.
IX. 영화 해석 및 평가
- 주요 평론 및 해석 :
- 관계성에 대한 탐구 : 영화 재희/흥수 독특 우정, 사랑, 성장 중심 전개되며, 이들 관계 단순 로맨스 넘어선 깊은 유대감 보여준다는 평가 주를 이룸.
- 퀴어 서사 의미 : 한국 상업영화서 퀴어 코드 전면 내세운 작품 평가받으며, 성소수자 삶/사랑 비중 있게 다루었다는 점서 의의 찾을 수 있음. 박상영 작가 원작 소설 자체 퀴어 문학으로서 주목받았으며, 영화 또한 이러한 정체성 계승하고 있음.
- 사회적 시선과 편견 : 재희 자유분방 삶 방식 대한 사회적 낙인, 흥수 성 정체성 대한 내적 고민/외적 압박 등 사회적 편견 맞서는 인물들 모습 그리고 있음. 특히 "네가 너인 게 어떻게 약점이 될 수 있냐?" 재희 대사 영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로 회자됨.
- 현실적 청춘 묘사 : 2010년대 시대상 배경으로 대학 생활, 연애, 취업, 군대 등 청춘들 겪는 현실적 고민/성장 과정 담아내어 공감 얻음. 씨네21 전문가들 "일부에 골몰하지 않고 이곳에서 살아갈 법을 말하다"(이유채), "여전히 오래된 지금 이야기, 찡하다"(이용철), "나답게 살았던 시절에 바치는 사랑의 축가"(김철홍) 등 영화 긍정적 평가함.
- 남성 캐릭터 대한 비판적 시선 : 일부 평론서 영화 속 남성 캐릭터들 여성 외모 품평하거나, 바람 피우고, 데이트 폭력 행사하는 등 다소 부정적 그려지는 경향 있다는 지적 제기되기도 함.
- 종교적 상징 대한 분석 : 일부 리뷰서 영화 속에 등장 사과, 어린 양 등 상징물/기독교적 모티프 분석하며 다양한 해석 시도하기도 함.
- 관객 반응 :
- 젊은 세대 중심 깊은 공감대 형성하며 N차 관람
반응형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 F1 더 무비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3) | 2025.06.26 |
---|---|
영화 : 릴로 & 스티치(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3) | 2025.05.30 |
영화 : 미션 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1) | 2025.05.29 |
영화 : 승부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2) | 2025.05.19 |
영화 : 야당 (2025) - 심층 분석, 제작 비하인드 (0) | 2025.05.16 |